mobile-header-bg

BUSINESS

CONSULTING

신재생에너지 컨설팅

재생에너지는 생산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무공해 에너지일 뿐 아니라 화석연료와 달리 고갈되지도 않기 때문에
미래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수단으로, 전 세계가 이를 개발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는 화석연료와 비교하였을 때 고갈될 염려가 낮고, 오염 물질 배출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석유와 같은 화석 연료 보유량이 적은 우리나라의 경우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어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개발 및 보급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정책은 지난 2020년 발표된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통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당시 발표된 신재생에너지 보급 관련 목표는 오는 2030년까지 1차 에너지의 14.3%, 발전량 중 21.6%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입니다.

신재생에너지가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데 미치는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요? 2016년 녹색기술센터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량은 약 246만tonCO2eq/yr이며, 직접 감축은 약 48%, 간접감축은 약 52%로 나타났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렇게 감축된 온실가스 대부분이 이산화탄소라는 사실입니다. 보급 및 확대를 통해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인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신재생에너지는 화석에너지의 고갈 및 환경문제에 대한 핵심 해결방안 및 국가 신성장산업으로서의 미래 잠재력으로 상당히 중요합니다. 최근 유가의 불안정, 기후변화협약 규제 대응 등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재인식되 면서 에너지공급방식 다양화가 필요됩니다. 기존 에너지원 대비 가격경쟁력 확보시 신재생에너지산업은 IT, BT, NT산업과 더불어 미래의 新성장 동력산업으로 급신장 예상이 됩니다.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원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태양광 (Photovoltaic)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모아 전기로 바꾸는 것입니다. 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몸에 나쁜 공해를 만들지 않고, 연료도 필요 없으며 소리도 나지 않아 조용합니다. 또한 쉽게 설치 할 수 있으며 오랫 동안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태양열 (Solar Thermal)

태양열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복사광선을 흡수해서 열에너지로 변환(필요시 저장)하여 이용하는 방법과 복사광선을 고밀도로 집광해서 열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발생하는 방법이 있으며 건물의 냉난방 및 급탕, 산업공정열, 열발전 등에 활용됩니다.

풍력 (Wind)

해상풍력발전은 가장 유망한 재생 에너지의 하나이며, 육상풍력발전보다 풍력이 강력하고 일정해서 장시간고출력 발생이 가능하고 소음, 공간적 한계, 경관훼손 등 기존 육상풍력발전의 단점을 보완하고 초대형으로제작할 수 있습니다.

해양 (Marine)

파도가 칠때 사용 할 수 있는 파력에너지, 바다속과 바다 표면의 온도차를 이용해 만드는 온도차 에너지, 밀물과 썰물 때의 물의 깊이가 달라지는 현상인 조력에너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여러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 (Bio)

살아있는 생물체로부터 생겨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무를 사용해 땔감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식물에서 기름을 추출해 액체 연료로 만드는 등 동·식물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연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연료전지

연료가 가진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직접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 변환 장치로서, 연료가 공급되는 한 재충전 없이 계속해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반응 중 발생된 열은 온수생산에 이용되어 급탕 및 난방으로 가능합니다.

수소 (Hydrogen)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대표적인 청정에너지원, 수소. 우주에서 가장 풍부하고 가장 가벼운 원소인 수소는 물로 만들 수 있고, 사용 후 다시 물이 되는 청정에너지로 다른 연료와 비교하여 대등한 수준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습니다.

폐기물 (Waste)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도시 고체 폐기물(MSW)을 소각하는 것은 폐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도시 폐기물의 약 13%가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에서 공급 원료로 사용됩니다.

지열 (Geothermal)

토양, 지하수, 지표수 등이 태양복사열 또는 지구 내부의 마그마 열에 의해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로 직접이용은 가장 오래된 기술로서 지열 히트펌프, 온천, 건물난방, 시설원예 난방, 지역난방 등이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수력 (Hydro)

수력발전은 물의 유동 및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시키는 것으로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및 보급 대상은 주로 발전설비용량 10㎿ 이하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발전차액지원제도는 5㎿ 이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미래 솔루션의 신재생에너지 컨설팅

고객의 필요와 상황에 적합한 최적 솔루션 제안을 통해 ​고객의 에너지 효율화에 성공적인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수소경제 추구, 탄소중립 선언 및 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등이 에너지업계 뿐 아니라 국내산업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인 바 이와관련 전반적 대응전략 및 세부 solution을 제공해드립니다.
화학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문제에 대한 햐결방안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진 각 국에서는 경쟁적으로 과감한 연구개발과 보급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건축물 또는 시스템은 기획, 계획, 설계, 시공, 운용제어, 유지관리, 개수, 개조, 폐기의 라이프사이클에 있어 최적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은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예측 분석을 기반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건물 에너지 관리 부분에서 다양한 건축, 설비 시스템으로 특성과 용도별 에너지 사용 패턴을 고려하고, 분석함으로써 시스템 운전의 적합성을 우선적으로 검토합니다. 운용되고 있는 시스템과 관련해서는 기간별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고 적절한 운전조건으로 조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물 에너지 정밀 분석 및 검증 절차를 통해 최적을 시스템을 제안해 드립니다.

문의·견적 신청

· 전화&홈페이지
· 방문 견적문의

데이터 수집·분석

· 시공입지&조건
· 필요 재생에너지

솔루션 제안

· 최적의 에너지 효율
· 고객맞춤 솔루션

​서비스 확정·계약

· 제안된 솔루션 확정
· 시공 계약진행

서비스 진행

· 친환경 공정기술
· 고효율 저비용

운영 관리·보고

· 월&연도별 데이터
· 보고서 서비스